Intro. 3단계를 시작하며
카카오 테크 캠퍼스 3단계는 기획부터 개발까지 전반적인 단계를 겪는 시간입니다.
1-2주차 동안에는 8월 말에 치뤄졌던 아이디어톤(🐥 카카오 테크 캠퍼스 아이디어톤 지극히 개인적인 후기)을 고도화하는 단계입니다
너, 테크 리더가 되라
저는 3단계에서 Backend 테크 리더를 맡게 되었습니다.
테크리더의 역할은 기술적/현실적으로 팀 내의 서비스 기술 방향을 재고하는 역할 입니다
개인적으로 테크 리더는 정확히 무슨 역할일까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제 결론은 우리 BE 팀원들이 온전히 개발에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였습니다
개발 캠프인 카카오테크 캠퍼스에서 공부하며 느낀 점은 개발 외적으로 디자인, 매니징 등 다뤄야 할 것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온전히 개발에 집중 하는 환경이 사실은 꽤나 감사한 환경이라는거죠
이번 프로젝트에서 테크 리더로써 팀원들이 맛있게 개발하는 환경을 만들고 싶습니다
Set up : Git 관련 설정
Github Template 제작
Github Issue Template을 만든 이유는 Issue 작성 할 때 번거로움과 에너지 소모를 막기 위해서입니다
기본적으로 설명, 기능, 레퍼런스 3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라벨은 현재 처리해야 하는 일, 시작하지 않음, 기능 추가가 적용 되어 있습니다
Github Labels 설정
-
Priority,Type,Status 3개를 이어 붙여서 큰 맥락을 잡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
레퍼런스
Commit Convention 설정
-
Commit Message Structure:
커밋 메시지는 제목, 본문, 꼬리말로 구성됩니다. -
Commit Type: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fix
: 버그 수정docs
: 문서 수정style
: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등refactor
: 코드 리펙토링test
: 테스트 코드 추가chore
: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등
-
Subject:
제목은 50자를 넘기지 않고, 대문자로 시작하며 마침표를 붙이지 않습니다.
명령어로 작성하며 과거시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Fixed” → “Fix”, “Added” → “Add” -
Body:
선택사항으로, 부연설명이 필요하거나 커밋 이유를 설명할 경우 작성합니다.
제목과 본문은 한 칸 띄워 구분합니다. -
Footer:
선택사항으로, issue tracker id를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
PR 정책 변경
기존의 카카오테크 캠퍼스 Rule에서는 팀 내 owner가 승인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owner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명확히 파악 할 수 있지만, 기능 개발을 하는 팀원들 간에는 전달 되지 않을 수 있다 생각했습니다
Develop 브랜치, 즉 Master 브랜치 이전에 최종적으로 코드가 모이는 브랜치로 PR을 날리는 경우 최소 1명에게 코드 리뷰를 받아야 Merge 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습니다
최소한 팀원들 간의 진행 상황 공유 하는 것에서 각자 코드 리뷰를 함으로써 실력 향상까지 목표로 합니다
ERD 설계
ERD 설계는 ERDCloud를 사용해서 함께 작성했습니다.
원래는 draw.io를 주로 사용했었는데, 관계 표현이나 추후 SQL 등으로 export 할 수 있다는 점에서 ERD Cloud가 유리해서 다음부터는 draw.io를 사용하지 않을거 같습니다
API 설계
카카오 테크 캠퍼스 2단계에서 GET/POST 만 사용 할 것을 강제했다면,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다른 메소드도 자유롭게 사용했습니다
API 관련 세부 명세에는 뷰/헤더/응답 포맷/상태 코드 등을 기록했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일단 작성을 하고 댓글로 피드백을 받고, 대화가 길어질 경우 슬랙 허들을 사용했습니다
대면으로 만난 적이 없는데도, 프로젝트가 잘 진행 되는 것을 보면서, 중요한 것은 대면/비대면이 아니라 협업 하려는 태도임을 알았습니다
기본 설정
-
기본 경로 (Base URL):
/api
-
인증 (Authentication): HTTP 헤더에 Bearer Token
-
Response Body 양식:
{ "success": true, "response": null, "error": null }
-
변수명 양식: camelCase
API Endpoints
/api/user
: 사용자 관련 기능 (로그인, 로그아웃, 계정 정보 조회, 인스타그램 연동 등)/api/refresh
: 엑세스 토큰 재발급 관련 기능/api/board
: 게시물 업로드 및 조회 (인기 게시물, 홈 게시물, MY 게시물 등)/api/points
: 폭죽 관련 기능 (획득, 쏘기, 조회, 이력)/api/kakao
: 카카오 문의하기
'프로젝트 > 카카오 테크 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JUnit 테스트를 할 때 Capor는 뭘까 (0) | 2023.10.12 |
---|---|
카카오 테크 캠퍼스 3단계 3주차 회고 (0) | 2023.09.20 |
🐥 카카오 테크 캠퍼스 아이디어톤 지극히 개인적인 후기 (1) | 2023.08.27 |
🐥 카카오 테크 캠퍼스 - 2단계 6주차 과제 분석 (0) | 2023.07.31 |
🐥 카카오 테크 캠퍼스 - 2단계 5주차 과제 수행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