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토마타
오토마타는 디지털 컴퓨터의 추상적 모델이다.
그래서인지 입력 장치, 제어 장치, 출력 장치, 저장 장치
로 이루어져 있다.
추가로, 일시 기억 장치(무한개의 기억소자 cell로 이루어짐), 제어 장치(유한 개의 내부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항상 유지)도 있다
오토마타의 분류
기능적인 측면 : 인식기(accepter)와 변환기(transducer) 구분
인식기의 경우 입력된 결과에 대해 오토마타는 인식/기각(accept/reject) 등을 표시하는 이진 기호를 출력한다
- 언어 변환기는 주어진 입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문자열을 출력한다
- 변환기에는 상태에 따른 출력을 내는 Moore 기계와 전이에 따른 출력을 내는 Mealy 기계 등이 있다.
결정적 오토마타 VS 비결정적 오토마타 구분
결정적/비결정적 오토마타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태 수를 줄임으로써 인식기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비결정적 오토마타를 만들고, 결정적 오토마타로 변환하며, 점점 상태 수를 줄여 인식기를 만다는거죠
- 결정적 오토마타는 한 상태에서 하나의 입력을 받았을 때 다음 상태가 유일합니다
- 비결정적 오토마타는 한 상태에서 하나의 입력을 받았을 때 다음 상태가 두 개 이상인 것을 말한다
부족한 점이나 잘못 된 점을 알려주시면 시정하겠습니다 :>
728x90
'Computer Science > 프로그래밍 언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A와 DFA (0) | 2023.05.28 |
---|---|
프로그래밍 언어론 - 식 (2) | 2023.05.25 |
프로그래밍 언어론 - 데이터 타입 (0) | 2023.05.23 |
EBNF (0) | 2023.05.22 |
구문 도표 (0) | 2023.05.2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취업
- 개발/CS/알고리즘
- 개발/환경
- 개발/CS/OS
- ⌨️Developer
- 개발/보안
- 개발/Java/Spring
- 개발/Tools/프레임워크/Spring
- 개발/MySQL
- 개발/네트워크
- 알고리즘
- 개발/에러
- electron
- 개발/Electron
- ai
- 카카오 테크 캠퍼스
- 카테캠
- AI/ML
- AI/GPT
- 개발/컴퓨터네트워크
- 대외활동/카카오테크캠퍼스
- 개발/언어론
- 카카오테크캠퍼스
- 개발/webrtc
- 개발/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
- 개발/Java
- 개발/OOP
- 개발
- ⌨️Developer/보안
- 개발/언어/Jav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