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JosephusProble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BufferedReader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String[] input = reader.readLine().split(" ");
int N = Integer.parseInt(input[0]);
int K = Integer.parseInt(input[1]);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1; i <= N; i++) {
queue.add(i);
}
String result = "<";
while (queue.size() > 1) {
for (int i = 0; i < K - 1; i++) {
queue.add(queue.poll());
}
result += queue.poll() + ", ";
}
result += queue.poll() + ">";
System.out.println(result);
} catch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queue에 유저를 넣고 순차적으로 출력해내면 되는 문제이다
LinkedList를 사용한 이뉴는 중간 위치에서의 삽입 및 삭제 연산이 상수 시간에 이뤄지기 때문이다.
즉 원탁에서 유저가 한명씩 나가는 문제를 푸는데 적절하다
또한 ArrayList는 인덱스를 기반으로 빠르게 요소에 액세스 할 수 있지만, 중간 위치에서의 삽입 및 삭제 작업은 비효율적이다
배열의 경욱 더욱 그런데, 크기가 고정 되어 있으므로 삽입 및 삭제가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728x90
'알고리즘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_나무 자르기 (0) | 2023.08.19 |
---|---|
Baekjoon_수 찾기 (0) | 2023.08.19 |
구름톤 챌린지 1주차 -2 (0) | 2023.08.17 |
배열이 리스트보다 더 빠른 이유 (0) | 2023.08.16 |
Goorm_프로젝트매니징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