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EE 802 프로토콜
매체 접근 제어 (MAC: Media Access Control)
- 매체의 능력을 질서 있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제어 방식
-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서 MAC 서비스 데이터 단위(MSDU: MAC Service Data Unit) 형태로 데이터를 수신
- LAN 송수신 매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합니다.
IEEE 802 MPDU 형식
- MAC 헤더
- MAC 제어: MAC 프로토콜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포함
- 목적지 MAC 주소: MPDU의 목적지 물리 주소
- 발신지 MAC 주소: MPDU의 발신지 물리 주소
- MAC 서비스 데이터 단위: 상위 계층에서 제공된 데이터
- MAC 트레일러
- 프레임 검사 순서(FCS: Frame Check Sequence)
-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 오류-탐지 코드
송신시:
- 데이터는 MA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MPDU: MAC Protocol Data Unit)로 처리됩니다.
- 주소와 오류 감지 필드를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됩니다.
수신시:
- 프레임을 분해하여 주소를 인식하고 오류를 감지합니다.
논리 링크 제어
MAC와 LLC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분류됩니다.
MAC(Medium Access Control)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
- 오류검사 후 오류 프레임 제거
LLC(Logical Link Control)는 MAC 위에 위치한 부분
- 프레임의 정확한 전송을 확인
- 실패한 프레임을 재전송 및 복구
MAC와 LLC는 함께 작동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IEEE 802.11 네트워크 요소와 구조 모델
기본 서비스 집합(BBS: Basic Service Set)
-
LAN의 최소 구성단위
-
동일한 MAC 프로토콜 수행
-
동일한 무선매체에 대한 접근경쟁
-
독립적 존재가능
-
백본 분배 시스템(DS: Distribution System)에 접근 지점(AP: Access Point)을 통해서 연결 가능
-
독립 BSS(IBSS)
- BBS 내의 모든 지국이 AP를 통하지 않고 직접 송수신을 하는 BSS
-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
- 모든 지국은 직접 송수신을 하고 AP를 사용하지 않음
분배 시스템(DS: Distribution System)
- DS는 스위치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점(AP: Access Point)
-
브리지 역할
- 동일 BSS에 속하는 지국끼리 송수신
- 지국들 간에 직접적인 통신 불가
- 송신 지국에서 MAC 프레임을 AP로 전송
- AP가 목적지 지국으로 전송
-
중계 지점 역할
- BSS 내부 지국과 원격 BSS 내부 지국 통신
- MAC 프레임을 지역 AP로 전송
- DS를 통해 목적지 AP로 전송
- 해당 AP에서 목적지 지국으로 전송
지국(STA: Station)
- 각 지국은 하나의 BSS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 각각의 지국은 다른 지국과 함께 동일한 BSS의 무선 송수신 범위 내에 존재합니다.
- 단일 지국이 물리적으로 두 개의 BSS 범위에 속할 수도 있습니다.
- 지국과 BSS 사이의 관계는 동적입니다.
- 지국은 통신 상태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거나, 무선 범위에 들어와서 이동하기도 하며 나가기도 합니다.
DS 내부 메시지 분배
-
분배(Distribution) 서비스
- MPDU를 반드시 DS를 통해 하나의 BSS에 속한 지국에서 다른 BSS에 속한 지국으로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
통합(Integration) 서비스
- IEEE 802.11 LAN에 속한 지국과 통합된 IEEE 802.x LAN에 속한 장비 간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연관 관련 서비스
- MAC 계층의 주된 목적은 MAC 장비 간에 MSDU(MAC Service Data Unit)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 서비스 기능 작동을 위해 ESS(Essential Service Set) 내부 지국 정보가 필요합니다.
- 연관 관련 서비스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분배 서비스가 하나의 지국으로 송수신을 하려면 해당 지국은 반드시 연관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동성과 관련된 3 가지 전이
-
전이 없음(Seamless Roaming):
- 해당 지국은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이동하더라도 하나의 BSS(Basic Service Set) 내부에서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만 이동합니다.
-
BSS 전이(BSS Roaming):
- 동일 ESS(Essential Service Set) 내에서 다른 BSS로의 지국이 이동합니다.
- 해당 지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주소 지정 기능이 지국의 새로운 위치 파악 능력을 가져야 합니다.
-
ESS 전이(ESS Roaming):
- ESS 이동성은 하나의 ESS 안의 한 BSS에 속한 한 지국이 다른 ESS에 속한 한 BSS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국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을 때에만 이 기능을 지원합니다.
연관
- 지국과 AP 간의 초기 연관 설립:
- 지국의 ID와 주소를 파악합니다.
- 지국이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지국의 ID와 주소를 파악하려면 특정 BSS 내부의 AP와 연관을 확립합니다.
- AP는 이 정보를 ESS 내부의 다른 AP에게 전달할 수 있고, 주소를 가진 프레임을 라우팅하고 전달합니다.
재연관
- 이동 지국은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AP에서 확립된 연관을 다른 AP로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연관 제거
- 지국 혹은 AP에서 보내는 통지로서 기존에 존재하는 연관의 종료를 나타냅니다.
- 지국이 ESS를 떠나가거나 전원을 끄기 전에 연관 종료 통지를 전송합니다.
- MAC 관리 기능은 이를 처리하고, 통지 없이 사라지는 지국에 의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부족한 점이나 잘못 된 점을 알려주시면 시정하겠습니다 :>
728x90
'Computer Science > 프로그래밍 언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 (0) | 2023.06.12 |
---|---|
정규 문법 (0) | 2023.06.12 |
프로그래밍 언어론 - 포괄 부프로그램 (0) | 2023.05.30 |
프로그래밍언어론 - 중복 부프로그램 (0) | 2023.05.30 |
프로그래밍언어론 - 매개변수 전달 방식 (0) | 2023.05.30 |